컨텐츠 바로가기
button0 button1 button2 button3

교수소개

치위생학과 임선아 교수
임선아
임선아
전화번호
062-360-5791
연 구 실
D동 606호
전자우편
givesuna@nate.com
연구분야
임상치위생학 및 실습(Ⅱ,Ⅳ-Ⅵ), 치주기구이론 및 실습, 치주학,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
경력사항
  • 경력
    • 전남과학대학교 치위생과 교수
    • 전주기전대학교 치위생과 초빙교수
    •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겸임교수
    • 신성대학교 치위생과 외래교수
연구실적
  •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융합연구
  • 구강암 세포주에서 실망초 추출물의 항암효능
  •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education of adolescents of multi-cultural families ․
  • Factors influencing the achievement motiovation and happiness index on communication abil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․
  •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-지각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연구
  • 일부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 요인
  • Convergent research on oral health beliefs in some university students
  • 청소년의 주관적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
  •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
  • The study on the happiness index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
  • 일부 치위생(학)과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
  • Strain-specific PCR Primers for the Detec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
  • 치위생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
  • 일부 치위생(학)과 학생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  •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실습 만족도와 사회적지지 관련 요인
  • 일부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의치만족도 영향 요인
  • 일부 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영향 요인
  • TiO2 광촉매 융합 미백제에 의한 치아미백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
  • 일부지역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
  • Prevotella nigrescens ATCC 33563T 균주-특이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개발
  • 치면세균막내의 Fusobacterium nucleatum과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동정을 위한 세균배양법 및 Multiplex PCR법의 비교
  • 광주 전남 치위생과 학생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관한 인지도 조사연구
  •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실태 및 지식도
  • 구강건강영향지수를 이용한 삶의 질과 관련된 구강건강평가
  • 잇솔의 특징이 탄력손실도에 미치는 영향
  • 시간경과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체의 외형변화와 치아우식발생과의 관계
  • DNA probe Fu9을 이용한 Fusobacterium nucleatum strains의 동정
  • DNA probe Pn25를 이용한 Prevotella intermedia 및 Prevotella nigrescens의 동정
  • 용이한 Subcloning을 위한 pCATⓇ 3-Basic vector의 변형Ⅱ
  •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급성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원성 세균의 동정
  • 치석제거술 소요시간에 관한 조사
  • Prevotella nigrescens ATCC 33563T 균주-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 프라이머 개발
  • 아동양육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지도원의 구강건강인지 및 지각요인과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조사
  • 잇솔질 압력에 따른 잇솔강모의 탄력손실도 측정